어떤 GIS 소프트웨어를 써야할지 모르겠다면, GIS 소프트웨어 6가지 비교
2025-07-30
우리는 알게 모르게 매일 장소를 검색하고, 주소를 찾으며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사용하는 지도 서비스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들여다본 분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기업이 지도를 사용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단순히 위치 정보를 화면에 띄우는 것에서 확장되어 고객 행동 분석, 물류 최적화, 재난 대응, 도시 계획, 매장 입지 선정 등 GIS 서비스는 비즈니스 의사 결정의 핵심 도구로 진화했습니다.
공간 정보의 활용하기 위한 첫 번째 발걸음은 상황에 적합한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GIS 소프트웨어는 ‘지도 그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며 예측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GIS 소프트웨어에 익숙하지 않은 많은 고객은 GIS 소프트웨어가 왜 필요한지, 어떤 GIS소프트웨어가 우리에게 적합한지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GIS 대표 소프트웨어 6가지를 비교하고 각 소프트웨어의 특징에 대해 정리하여 우리 회사에 적합한 GIS 솔루션을 찾고 계신 분들의 눈높이에 맞춤 안내서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목차
GIS 소프트웨어란? GIS가 필요한 이유?
GIS 소프트웨어 6가지 비교
(1) ArcGIS
(2) SuperMap
(3) QGIS
(4) SAGA
(5) GRASS GIS
(6) OSM(Open Street Map)
우리 회사에 맞는 GIS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세요
GIS 소프트웨어란? GIS가 필요한 이유?
본격적인 비교에 앞서 GIS에 대한 정의부터 설명하겠습니다. GIS란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 공간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 시각화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GIS는 단순 위치만 표시하는 것이 아닌 위치를 기준으로 수많은 데이터를 연관 지어 공간 정보의 다차원적인 분석이 가능합니다.
GIS를 일반 지도 서비스와 혼용하여 사용하는 때도 많으나 사실 GIS는 일반 지도 서비스에서 한 단계 발전한 개념입니다. 일반 지도 서비스의 경우 다수 사용자를 대상으로 단순 지도에 위치를 표시해서 보여주는 위치 확인 기능, 길 찾기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그칩니다. 하지만 GIS는 공간 연산, 공간 데이터 결합, 레이어 분석 등을 통해 좀 더 세밀한 시뮬레이션 및 공간 정보 분석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GIS의 주요 사용자는 공공기관, 기업, 학술계 등으로 구분되며 고객 밀집 지역 분석, 토지 이용 계획, 교통 혼잡도 분석, 산림 파괴 모니터링, 기후 변화 예측 등에 활용됩니다.
GIS가 어떤 뜻인지, GIS로부터 확장된 로케이션인텔리전스는 무슨 뜻인지, 각각의 활용 사례는 어떻게 다른지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클릭해주세요.
GIS는 복잡한 데이터를 지도와 결합해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LiDAR, 드론, IoT 센서 등으로 공간 데이터 수집 방식이 진화하고 있는 가운데, 3D, 실시간 공간데이터 반영, AI 접목 등 GIS 소프트웨어도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국가 기관에서 주로 사용되던 GIS가 기업 단위로 넘어오며 GIS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활용할 줄 아는지가 앞으로 시장에서의 승패를 가로짓게 된 것입니다.
GIS 소프트웨어 6가지 비교
(1) ArcGIS
미국의 ESRI사에서 개발한 ArcGIS는 명실상부 전 세계 1위 GIS 소프트웨어입니다. GIS 소프트웨어하면 가장 먼저 ArcGIS를 떠올릴 정도로 GIS 소프트웨어 중에서도 가장 높은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으며 사용자층 역시 미국, 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전역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G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 ArcGIS의 호환성 역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정도입니다.
ArcGIS는 ArcGIS Pro, ArcGIS Online, ArcGIS Enterprise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rcGIS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고급 분석 도구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공간 통계부터 3D GIS, 웹 맵 서비스, 대시보드, 클라우드 GIS 등 올인원 플랫폼을 제공하며 방대한 데이터 허브 역시 ArcGIS가 가지고 있는 장점 중 하나입니다.
ArcGIS는 전 세계 정부, 군, 대기업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제품별로 고가의 라이센스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학술 목적/비영리용 할인이 있다고는 하나 다른 GIS 소프트웨어에 비해서 여전히 높은 가격입니다.
(2) SuperMap
SuperMap은 중국 베이징의 GIS 전문 회사 SuperMap에서 개발한 GIS 소프트웨어입니다. 국내에서는 다소 생소할지 모르나 라이센스 기준 아시아 1위, 전 세계 3위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는 GIS 소프트웨어입니다.
SuperMap는 ArcGIS와 마찬가지로 iDesktop, iServer, iClient JavaScript, iClient 3D for WebGL, Objects, iMobile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GIS, 3D GIS, BIM-GIS 융합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의 스마트시티, 국토 조사, 공공사업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SuperMap은 Esri보다 저렴한 라이센스 정책을 내세우며 국가 프로젝트나 교육기간 대상 맞춤형 견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ArcGIS와 유사한 구조로 기존 사용자의 이동이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GIS 전문사인 SPH는 슈퍼맵의 국내 총판을 맡아 산림청, 경찰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국토정보공사 등 다양한 공공기업에 슈퍼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슈퍼맵 제품군부터 사용 방법, 라이센스 비용, 활용 사례 등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SPH 세일즈 팀을 찾아주시길 바랍니다.
(3) QGIS
유료가 아닌 오픈 소스 GIS 소프트웨어 중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품은 바로 QGIS입니다. 전 세계 오픈소스 개발자들이 협업하는 비영리 프로젝트로 탄생된 QGIS는 ArcGIS의 대체제로 손꼽히며, 오픈소스지만 ArcGIS에 버금가는 고급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터페이스 역시 ArcGIS와 유사하며 무료라는 점에서 특히 교육기관, NGO, 개발도상국 등을 넘어 다양한 기업과 기관에서 QGIS를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QGIS는 벡터, 래스터, PostGIS, SpatiaLite, GeoJSON, KML, GPX 등 거의 모든 GIS 데이터 포맷을 지원하며 타 소프트웨어(ArcGIS, AutoCAD 등)에서 만든 데이터도 호환 가능한 고급지도 제작 도구입니다. 기본적인 지도 제작, 지리 공간 분석이 가능하며 보다 복잡하고 구체적인 작업도 가능합니다. 여기에 수천 개의 플러그인으로 다양한 기능 확장이 가능하며 GRASS, SAGA, PostGIS, Python 등과도 완벽하게 연동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관련 커뮤니티도 활성화되어 있고 문서도 많아 접근성도 매우 우수합니다.
다만 ArcGIS나 SuperMap에 비해 기업용 고급 기능이나 업데이트는 부족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기술기술 지원 관련하여서도 전문 인력 없이 커뮤니티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사용이 힘들 수 있습니다.
공식 사이트: https://qgis.org
(4) SAGA
SAGA는 System for Automated Geoscientific Analyses의 약자로 독일 함부르크 대학 주도로 개발된 오픈소스 지형 분석 전용 GIS입니다. 학술 및 분석 도구로서의 활용도가 높으며 특히 유럽 및 학계를 포함 전 세계 지리/지형 분석 전문가들이 널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SAGA는 특히 경사도, 곡률, 유로망 분석, 수문 네트워크 추출 등과 같은 DEM(Digital Elevation Model: 디지털 고도 모델) 분석, 수문 분석, 곡률 계산 등에 특화되었으며, 크리깅(kriging), 회귀 분석 등 고급 지구통계 기능도 내장되어있는 등 수백 개의 고급 지형 분석 및 공간 통계 알고리즘을 제공합니다. 또한, QGIS의 Processing Toolbox와 완벽히 통합되어 QGIS 내에서 SAGA의 강력한 알고리즘을 직접 호출할 수 있어 실무자와 연구자 모두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무료이지만 연산 속도가 빠르고 멀티코어 CPU 최적화를 지원해 대용량 DEM 처리에도 유리합니다. 여기에 RSAGA를 통해 R 환경과 연동할 수 있어 통계분석, 머신러닝 등과 결합하기 쉽습니다. 다만 UI는 다소 직관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ArcGIS나 SuperMap과 비교하면 지도 제작보다는 분석 쪽에 특화되어 있어 초보자의 활용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공식 사이트: https://saga-gis.sourceforge.io/en/index.html
(5) GRASS GIS
GRASS GIS(Geographic Resources Analysis Support System)는 미국 군부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정통 과학 분석용 GIS로, 현재도 연구 중심으로 활발히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주로 GIS 전문가나 학술자 중심으로 사용되며 특히 환경·생태 분야에서 논문, 고급 지리 모델링 용도로 인기 있습니다.
GRASS GIS는 시계열 변화 분석, 수문 시뮬레이션, 생태학적 모델링에 강점이 있습니다. 정교한 토폴로지(Topology) 관리, 시계열 공간 데이터 분석, 3D 볼륨 데이터(voxel) 처리,래스터 수학 연산, 벡터 데이터 수정, 시계열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공간 분석 고급 모듈을 자랑합니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재현성있는 분석 파이프라인 구축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Python, R과의 연동성이 뛰어나 통계·머신러닝 환경과 함께 사용하기 좋고 QGIS에서 GRASS 모듈을 직접 호출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지 않고 Location/Mapset 구조 등 독자적인 데이터 관리 방식을 익히는 데 시간이 필요해 초보자에게는 진입 장벽이 다소 높습니다.
공식 사이트: https://grass.osgeo.org/
(6) OSM(Open Street Map)
OSM은 앞에서 소개한 GIS 소프트웨어와는 조금 다른 성격입니다. OSM은 소프트웨어라기보다는 전 세계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제작하는 오픈 지리정보 플랫폼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크라우드 소싱 지도 데이터베이스인 OSM은 100% 무료로 API를 제공하며, 구글맵스플랫폼과 달리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수정, 재배포가 가능합니다. ODbL(Open Database License)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업적 활용도 제한이 거의 없습니다.
OSM의 무료 API는 전 세계 수천 개의 위치 기반 웹, 모바일 앱, GIS, 물류,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또한, 고정밀 도심 데이터와 다양한 커뮤니티 지도 제작에도 활발히 활용되며 상용 지도 서비스보다 빠른 업데이트 속도와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보강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OSM은 데이터 플랫폼이기 때문에 앞에서 소개한 GIS 소프트웨어처럼 복잡한 분석 기능을 자체적으로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GeoJSON, KML, Shapefile 등 다양한 GIS 포맷으로 데이터를 추출해 QGIS, PostGIS, Mapbox 등과 결합하면 강력한 시각화 및 분석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특히 OSM 기반 데이터는 스타트업, NGO, 개발도상국뿐 아니라 글로벌 물류 기업이나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될 만큼 안정성과 범용성이 높습니다.
다만 OSM은 데이터 품질이 지역별로 편차가 있을 수 있고, 구글맵스플랫폼과 같은 상용 지도플랫폼보다 표준화가 부족하다는 점이 한계가 있습니다.
공식 사이트: https://www.openstreetmap.org/
우리 회사에 맞는 GIS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세요
GIS 도구를 선택할 때는 단순히 ‘유료냐 무료냐’를 넘어서, 조직의 IT 환경, 예산, 분석 수준, 사용자 수, 기술 역량, 분석의 복잡성, 확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단일 소프트웨어를 고집하기보다는 여러 GIS 소프트웨어를 조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IT 리소스 및 예산이 충분하다면 올인원 GIS 플랫폼인 ArcGIS 또는 SuperMap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rcGIS는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로 정부 및 대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강력한 분석 기능과 풍부한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라이선스 가격이 부담스러운 경우 ArcGIS와 근접한 기능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며 클라우드 GIS, 3D 시각화, BIM-GIS에 강점이 있는 SuperMap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비용에 대한 부담 없이 교육용,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한 GIS 소프트웨어를 찾고 있다면 QGIS가 적합할 것입니다. 좀 더 정밀한 DEM 지형 분석, 수문 모델링 등이 필요하다면 SAGA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QGIS와 Saga 모두 ArcGIS나 SuperMa의 Desktop과 같은 제품으로 웹화면의 가시화가 필요할 경우 또 다른 오픈소스인 geoserver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환경, 생태, 기후 분석 등을 목적으로 대규모 시계열 분석, 래스터/백터 데이터 처리 등이 필요하다면 GRASS GI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체 분석 도구 필요없이 API 형태로 지도 시각화, 위치 기반 서비스 구축만 필요하다면 OSM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GIS 소프트웨어를 처음 이용하는 유저라면 어떤 상황에서 어떤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야 할지, 소프트웨어 선택 이후에는 어떻게 조작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SPH는 국내 GIS 전문 업체로 구글맵스플랫폼의 국내 유일 프리미어 파트너사이며 중국의 슈퍼맵(SuperMap), 위성 영상 전문 업체 막사(Maxar Technologies) 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업계 10년 이상의 GIS 전문가로 구성된 SPH의 공간정보 컨설팅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문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SPH는 Google Maps, SuperMap, Maxar Technologies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가지고 있으며, 고객의 사례에 꼭 맞는 무료 세미나 및 인적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시다면, 여기에서 문의 주시길 바라며, SPH에서 발행하는 GIS / 로케이션인텔리전스 관련 최신 소식을 받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페이스북 페이지 또는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