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SPH 구글맵스플랫폼 웨비나 시리즈 돌아보기
  • SPH Facebook
  • SPH Blog

2024 SPH 구글맵스플랫폼 웨비나 시리즈 돌아보기

2024-10-28

SPH-JY

구글맵스플랫폼 국내 공식 유일 프리미어 파트너사인 SPH인 2024년 주목받고 있는 산업군에서 구글 지도가 어떤 시너지를 불러 일으킬수 있는지 소개하는 웨비나 시리즈를 진행했습니다. 각 웨비나마다 많게는 300여 명이 넘는 분들이 신청하며 <구글 지도를 활용한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 큰 관심을 보여주셨는데요, 웨비나 소식을 늦게 들으셨거나 혹은 웨비나 당일 사정이 있어 참여하지 못했던 분들을 위해 SPH에서는 웨비나 영상 전체 무료 공개부터 발표 자료 다운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난 웨비나에서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는지 확인하러 가볼까요?🗺️




<구글 지도를 이용한 비즈니스 전략 - 여행>


첫번째 웨비나 주제는 바로 <여행>이었습니다. 아무래도 ‘지도’서비스를 떠올렸을 때 가장 직관적으로 연결되는 산업군이 아닐까 싶은데요, 여기에 코로나가 종식되며 여행에 대한 니즈가 늘어나고 자연스레 여행과 관련한 서비스도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있는 여행 비즈니스 트랜드부터 기술 동향까지 알고 싶다면 <구글 지도를 이용한 비즈니스 전략 - 여행> 웨비나를 주목해주세요!


한국의 여행 산업 전망부터 구글 지도 서비스의 웹/앱 적용 사례가 궁금하시다면 아래를 클릭하여 SPH <세상의 모든 지도> 유튜브에 올라온 웨비나 내용을 확인하세요. 웨비나에서 발표한 자료가 궁금하시다면 SPH 홈페이지에서 가입 없이 무료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세미나 다시보기



자료 다운로드: https://www.sphinfo.com/seminar/read/50 


이런 질문이 나왔어요


Q) Google Gemini는 구글 지도의 장소 학습을 마친 상태인가요? Gemini와 구글 지도간의 연계성이 높을까요?

A) 구글 LLM Gemini는 지도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AI 모델은 아니지만 범용 인공지능 모델로 구글 지도의 장소 데이터를 지속해서 학습하고 있습니다. 최근 구글맵스플랫폼에서는 실험적 기능으로 Gemini를 통한 생성형 장소 요약, 지역 요약, AI 기반 장소 맥락 검색 기능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피라미드가 잘보이는 주변 카페를 알려줄래?” 라고 물어보면 Gemini가 구글 지도의 리뷰와 사진을 탐색해 피라미드 뷰가 보이는 카페를 알려줄 거예요. 덕분에 추천 장소와 지역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맞춤형 여행 코스를 짜는 데도 한층 수월합니다.



Q) 구글맵과 앱을 연동할 때 구글 클라우드 서버와의 연동이 필수적인가요?


A) 구글 지도 서비스를 앱과 연동하기 위해 구글 클라우드와 필수적으로 연결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기반 지도 스타일링이나 데이터 기반 지도 등의 일부 고급 기능을 활용하려면 구글 클라우드 콘솔(Google Cloud Console)을 통한 작업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SPH에서는 고객의 결제 및 프로젝트 권한 및 IAM 설정, QPM 관리, 모니터링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며 고객은 클라우드 콘솔에서 API 키 사용 및 관리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Q) 구글 맵스 플랫폼에서 한국 지형 지도 서비스 위에 상권 분석 시스템 혹은 추가 지리정보 레이어 서비스를 중첩해서 활용할 수 있을까요?

A) 네, 구글 지도 위에 추가 지리 정보 레이어를 중첩하여 지도 위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더욱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글맵스플랫폼에는 Datasets API 같은 서비스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정의 오버레이, 데이터 레이어, 타일 오버레이, 타사 GIS 서비스 통합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합니다.



Q) 지도위에 위치값을 뿌릴 때 참고해야 할 API 정보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이때 확인해야 하는 필수정보는 어떤 게 있나요?


A) 일반적으로 디지털 지도 위에 위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려면 좌표계(WGS84, EPSG:4162 등)를 통한 위치 좌표와 함께 특정 위치를 시각화하는 지도 마커, 다각형(폴리곤), 정보 창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구글 맵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구현하실 경우, 웹 환경에서는 Maps JavaScript API를, 모바일 앱 환경에서는 Maps SDK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주소 조회에는 Geocoding API 및 Address Validation API, 장소 정보 활용에는 Places API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API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시어 적합한 API를 선택하고 있는지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구글 지도를 이용한 비즈니스 전략 - IoT>


IoT(사물인터넷)라는 단어, 많이 접하지만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그 개념에 대해서는 모호하다 느끼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사실 스마트폰, 태블릿, 드론, 세탁기, 냉장고, 스마트 워치 등 눈을 뜨고 잠들 때까지 IoT 기기는 우리 주변에서 24시간 함께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우리의 일상을 변화시키는 IoT 기술의 핵심은 바로 ‘공간 정보’입니다. 지도 서비스는 IoT 비즈니스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여 어떻게 비즈니스를 확장시킬 수 있을지 궁금하시다면 아래 웨비나를 클릭해주세요.



세미나 다시보기



자료 다운로드https://www.sphinfo.com/seminar/read/53 


이런 질문이 나왔어요


Q) IoT 기기들의 위치를 파악하려면 API가 Wi-Fi RTT (IEEE 802.11mc) 표준을 지원해야 하지 않나요?

A) 실내에 설치된 AP를 활용한 Wi-Fi RTT 기술을 통해 IoT 기기의 위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Geolocation API는 이러한 표준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Wi-Fi AP 및 셀룰러 기기의 데이터 필드를 통해 위치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API는 HTTPS를 통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인터넷의 연결이 전제된 위치 조회가 가능합니다.


Q) IoT 기기 위치 파악 시, 최소 3대 이상의 AP가 필요한게 맞나요?

A) 예, Wi-Fi RTT(Round Trip Time)또는 기타 삼각 측량 방법을 사용하여 IoT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때 안정적인 실내 측위, 높은 정밀도를 위해서는 최소 3개의 AP가 필요합니다.



Q) Wi-Fi 말고 nb IoT등을 이용해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 데이터를 최적화할 수 있나요? 

A) Wi-Fi가 아닌 NB IoT(협대역 IoT)를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저전력 및 확장된 범위가 필요한 IoT 전략에 유용합니다. NB IoT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압축: JSON대신 CBOR 또는 프로토콜 버퍼와 같은 경량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 낮은 페이로드 프로토콜: IoT 용으로 설계된 MQTT 또는 CoAP와 같은 오버헤드가 낮은 프로토콜과 잘 작동합니다
- 샘플링 속도 및 주파수 최적화: 샘플링 빈도를 조정하여 대역폭,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 이외에도 데이터 에지 처리, 선택 전송, 스케쥴링 및 일괄 처리를 통해 데이터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Q) 네이버 POI ID와 구글 POI의 아이디가 다를 것 같은데 어떻게 정보를 호출할 수 있는지 좀 더 자세히 여쭤볼 수 있을까요?

동일 위치의 정보를 검색시 데이터 매칭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이름, 주소, 좌표, 카테고리와 같은 위치 세부정보를 검색하여 동일 장소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때 명명 규칙의 변형, 주소 형식의 차이를 처리하기 위한 코딩이 필요합니다.

또는 구글지도의 역지오코딩 API(Reverse Geocoding API)를 사용하여 근처 POI를 식별하거나 장소 API(Places API)를 사용하여 관심 장소에 대한 구조 정보를 반환하고 상호 참조할 수 있습니다.




<구글 지도를 이용한 비즈니스 전략 - 모빌리티>


SPH 웨비나 시리즈 마지막 주제는 많은 분이 기다려왔던 ‘모빌리티’입니다. 한국인은 모두 ‘배달의 민족’이라는 문구에 걸맞게 한국의 모빌리티 시장은 전 세계 어느 곳과 비교해서도 신기술을 받아들이는데 주저하지 않습니다. ‘새벽배송’, ‘로켓배송’ 등 다양한 슬로건으로 많은 유통업계가 빠르고 신속한 배달을 영업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는데요, 여기에는 호출-배차-경로-결제 등 모빌리티 서비스를 통합한 MaaS(Mobility-as-a-Service)의 등장이 한몫했습니다.


웨비나 <구글 지도를 활용한 비즈니스 전략-모빌리티>에서는 구글맵스플랫폼의 진화된 길찾기 API(Google Maps Platform Route Optimization)부터 Navigation SDK까지 구글 지도가 어떻게 정확한 도착시간(ETA)을 제공하고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는지 구체적 사례를 제안합니다. 지도 서비스의 꽃, 모빌리티에 대해 알고 싶다면 아래 웨비나를 주목하세요.



세미나 다시보기



자료 다운로드https://www.sphinfo.com/seminar/read/54


이런 질문이 나왔어요



Q) FMS란 무엇인가요? 

A) FMS(Fleet Management System)는 복수의 차량을 관리하고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랫폼 또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실시간 GPS 추적, 텔레매틱스, 유지 및 관리 일정, 연료 관리, 운전자 행동 분석 등을 지원하며 차량 관리에서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돕습니다.



Q) 구글맵스플랫폼의 Navigation SDK는 iOS, AOS 모두 지원하나요?

A) 네, 구글맵스플랫폼의 Navigation SDK는 iOS, AOS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Q) GPS 오류는 어떻게 잡을 수 있나요?

A) Geocoding API를 이용하여 GPS 좌표를 읽을 수 있는 주소로 변환하고 장소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비게이션의 경우 맵 매칭을 통해 GPS 신호가 탐색 가능 경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Directions API/Routes API를 사용하여 주어진 좌표에 가장 가까운 도로를 찾을 수 있습니다.



Q) KAGOS 실제 사용화면을 보고 싶습니다

SPH에게 문의(help@sphinfo.co.kr)주시면 사용화면을 포함한 활용 방법, 구축 프로세스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 드립니다.



Q) 전통 알고리즘 기반의 GIS기술 외에 AI 학습/추론 기반의 GIS 기술의 현 단계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구글 지도는 AI 학습/추론에 힘입어 매년 관련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AI를 활용한 구글 지도 업데이트에 대해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클릭해주세요. 이외에도 SPH 링크드인 구독뉴스레터 구독을 통해 남들보다 빠르게 구글지도 관련 소식을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

When Maps meet AI │ 지도와 AI가 만났을때




온라인으로 진행된 세션이었지만 채팅을 통한 실시간 질의응답과 참여자분들의 활발한 소통 덕분에 오프라인 못지않게 뜨거웠던 열기를 자랑했던 것 같습니다. 웨비나 도중 나온 질문들이 너무 많아 포스팅에서 모두 소개가 어려울 정도였는데요, 이번 웨비나를 통해 에스피에이치 팀 역시 구글 지도에 관한 국내 사용자 여러분의 관심을 느낄 수 있어 뜻깊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부디 이번 웨비나를 통해 구글 지도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으셨기를 바라며, 실무에 적용하면서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저희 SPH 팀을 찾아주세요😉 앞으로도 에스피에이치 팀은 구글 지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행사 및 강연을 준비하고 있으니 앞으로 진행되는 업데이트를 놓치고 싶지 않으시다면 에스피에이치 뉴스레터 구독을 신청해주시길 바랍니다🚨



SPH는 Google Maps, SuperMap, Maxar Technologies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가지고 있으며, 고객의 사례에 꼭 맞는 무료 세미나 및 인적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시다면, 여기에서 문의 주시길 바라며, SPH에서 발행하는 GIS / 로케이션인텔리전스 관련 최신 소식을 받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페이스북 페이지 또는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시길 바랍니다

Newsletter구독 신청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