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설계가 쉬워진다! Cloud e-BIM
2023-11-28
‘BIM’이라는 단어, 들어보신 적 있나요?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건축 정보 모델링)’의 약자인 BIM은 3D 가상공간을 이용하여 전 건설 분야에 걸쳐 시설물의 설계, 시공, 운영에 필요한 정보, 모델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술로, 건설 분야에 빼놓을 수 없는 핵심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CAD가 설계 및 모델링 위주인 것에 반해 BIM은 설계뿐 아니라 시공 및 운영 데이터를 생성/관리한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건설 및 건축 현장에서 각종 BIM 프로그램들이 활용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기존의 BIM 프로그램의 고충을 보완할 수 있는 Cloud e-BIM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Cloud e-BIM, 왜 만들어졌을까?
Cloud e-BIM은 전통적 BIM 프로그램들이 가지고 있는 단점, 그 중에서도 도로 설계에 관련된 부분을 해소하고자 개발되었습니다. 기존의 BIM 프로그램인 Cloud Compare(포인트클라우드 서브샘플링, 지형지물 필터링), CIVIL 3D(TIN 삼각망 모델 생성, 도로 모델 작성), Revit(토공량 및 장비별 계획경로 계산) 등은 작업자의 PC별로 각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들 사이를 왔다 갔다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생산성도 저하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SPH는 어디서건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의 Cloud e-BIM을 만들었습니다. Cloud e-BIM은 웹 환경에서 동작하여 별도의 설치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간편히 액세스할 수 있고 하나의 통합된 작업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도로 공사 시 현장에서 각 장비별 경로를 만드는데 특화되어 있으며,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기존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내보내기와 같이 호환도 자유롭습니다.
밀착취재!🎥 Cloud e-BIM, 낱낱이 살펴볼까요?
Cloud e-BIM의 기능은 크게 지형 모델, 도로 모델, 계획경로 3가지로 나누어집니다.
1. 지형 모델
지형 모델은 Laz나 las, txt 포인트클라우드 파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먼저 파일을 업로드하면 서브샘플링 과정을 통해 점의 밀도를 낮추어 작업의 연산 속도를 높입니다. 다음 지형지물을 필터링하여 지형만 남긴 후 남은 점들을 이어 TIN 삼각망 모델로 만듭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형 모델은 밑에서 소개할 도로 모델 생성 시 참조하거나 토공량을 산출하는 데 쓰입니다.
Cloud e-BIM에서 지형 모델을 생성하면 별도의 뷰어 프로그램 없이 포인트클라우드를 바로 표시할 수 있으며 업로드한 포인트클라우드 지형지물을 온라인에서 필터링하거나 간단히 삼각망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포인트클라우드 파일로 TIN 삼각망 모델을 만든 예시
2. 도로 모델
도로 모델은 실제 현장의 토공장비에서 작업하게 될 타겟모델을 만드는 기능입니다. 만들어진 도로 타겟모델과 지형 모델간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면 통해 토공량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도로 모델은 1)미리 작성된 파일을 업로드 2)웹에서 도로를 작성하는 2가지 방법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먼저 CIVIL 3D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작업하던 파일을 업로드하고 웹에서 이어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며, 웹에서 도로 모델을 작성할 시에는 먼저 도로중심선을 작성하여 도로 모양을 그린 후, 종단설계를 통해 높이를 설정하고 횡단 설계를 통해 도로 폭, 각도, 사면을 설정하면 해당하는 3D 도로 타겟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Cloud e-BIM을 이용하면 이렇게 작업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다른 작업자에게 손쉽게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Cloud e-BIM에서 생성한 도로모델 예시
3. 계획경로
계획경로는 토공량 계산 및 롤러, 도저, 그레이더 등 토공장비가 움직일 경로를 산출해 내는 기능입니다. 만들어진 계획경로를 BIM-GIS로 내보내어 장비별 경로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계획경로를 생성하기 위해 먼저 도로 타겟모델 위에 장비가 움직이는 부분을 격자로 작성합니다. 만들어진 격자와 토공량을 계산하는 타겟모델, 지형 모델을 선택하면 Cloud e-BIM 서버에서는 격자 한 칸마다 토공량 및 해당하는 작업(절토(切土) 또는 성토(盛土))을 계산합니다. 이후 격자와 토공장비를 선택하면 계획경로가 산출됩니다.
해당하는 토공장비를 선택하고 계획경로를 계산하는 예시
본 포스팅에서 소개한 Cloud e-BIM을 이용하여 BIM 전문가, 또는 업계 관련자분들이 가지고 있던 고충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기를 바랍니다. 좀 더 상세한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다음 링크를 통해 문의 또는 SPH 세미나를 신청해주세요!
감사합니다.
SPH는 Google Maps, SuperMap, Maxar Technologies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가지고 있으며, 고객의 사례에 꼭 맞는 무료 세미나 및 인적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시다면, 여기에서 문의 주시길 바라며, SPH에서 발행하는 GIS / 로케이션인텔리전스 관련 최신 소식을 받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페이스북 페이지 또는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