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접전이었던 20대 대선, 접전지는 어디?
  • SPH Facebook
  • SPH Blog

초접전이었던 20대 대선, 접전지는 어디?

2022-03-16

SPH-JY

양자 대결 구도로 보는 20대 대선, 태블로로 대선 접전 지도를 만나보세요!


20대 대선이 막을 내렸습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한 표, 행사하셨나요? 코로나19로 인해 투표가 어려운 분들이 많지 않을까 걱정과 우려도 있었지만,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많은 분들께서 국민의 권리이자 의무를 다하기 위해 노력하신 덕분에 77.2%p의 투표율을 기록했던 19대 대선과 비교해, 단 0.1%p 낮은 77.1%p를 기록했습니다. 

 20대 대선은 사상 초유의 박빙 승부를 펼쳤습니다. 개표율 95%를 넘어설 때까지도 당선인을 확정 짓지 못하는 초접전 양상이 이어졌는데요! 그 결과, 16,394,815표를 득표하여 48.56%p로 득표율 1위를 기록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었고, 16,147,738표를 득표하여 47.83%p로 득표율 2위를 기록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0.76%p, 247,077표차로 낙선하게 되었습니다. 득표율 1위 후보와 2위 후보 간의 격차는 1%p 미만으로 나타나 역대 대선 최다 득표 낙선자를 갱신했는데요! 

 이번 대선 개표 방송을 보며 지난 2월 SPH 홈페이지 블로그를 통해 보여드렸던 19대 대통령 선거 양자대결 접전 지도가 생각났습니다. 초박빙이었던 20대 대선은 과연 어떤 접전 지도를 그리게 될지 기대되었는데요! 

 

이번 양자대결, 접전 지도는 득표율 기준 1%p이상을 확보한 후보를 대상으로 제작하여, 국민의힘 윤석열 당선인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정의당 심상정 대선 후보를 양자 대결 구도로 시도, 시군구, 읍면동 단위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사진 순서 : 시군구➞읍면동➞시도 순)


20대 대선 접전 지도를 보시기에 앞서 대시보드의 구성을 간단하게 둘러볼까요? 🧚🏻‍♀️

1. 2개의 지도가 세로로 배치되어 있으며, 최상단에 접전 지역과 승리 지역의 수가 나타납니다.


2. 양자대결 결과 지도의 경우, 접전지는 어두운 회색으로, 득표수가 더 많은 지역은 당 색으로 표현했습니다. 또한, 지자체 단위를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3. 접전 지도의 경우, 득표율 차이는 (비교 1)-(비교 2)입니다. 이 지도의 색은 당 색이 아닌, 비교 1 후보가 파란색, 비교 2 후보가 빨간색입니다. 

4. 접전 지도의 경우, 근소한 차이일수록 진한 색이며, 아래의 막대그래프(초록색 박스)의 극단에 있을수록 대승한 지역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른쪽 상단 표(보라색 박스)는 득표율 차이가 적은 지역을 순서대로 나타냅니다.

 


 

당시, 48.56%p로 득표율 1위를 기록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비교 1로 하여 47.83%p로 득표율 2위를 기록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양자대결 구도로 살펴본 결과입니다. SPH 태블로 퍼블릭에서 직접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두 후보는 시군구 기준 26개의 지역에서 접전을 펼쳤습니다. 주로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접전이었는데요! 경상 지역에서는 3개의 시군구(울산광역시 북구⬝동구, 경남 김해시)만이 접전지로 나타났고, 전라 지역에선 접전지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서울특별시를 좀 더 자세히 볼까요?  🤓

 


서울특별시의 접전지는 시군구 기준 6곳, 읍면동 기준 98곳으로 나타났습니다. 시군구 단위보다 더욱 복잡한 접전 지도를 볼 수 있습니다. 

지도로 보니 접전지가 밀집된 곳도 있고, 사방 중 해당 지역만 접전지인 ‘나 홀로 접전지’인 곳도 있습니다. 🏝

광진구 자양제2동, 동작구 사당제1동⬝노량진제2동, 영등포구 신길제1동⬝양평제1동, 송파구 마천1동이 나 홀로 접전지가 되었습니다.

또, 개인적으로 눈에 띄었던 지역은 송파구 삼전동⬝석촌동입니다. 인근의 강남구, 서초구 모든 동이 접전지로 분류되지 않았는데, 송파구의 두 동만이 접전지로 나타나 마우스를 올려보게 되었습니다! SPH 태블로 퍼블릭에 접속하시어 내가 사는 곳이 접전지였는지 확인해 보세요!  🕹

 

시군구 접전 지도의 Top 10 중 8곳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로 나타났으며, 그 구간이 1%로 나타나 두 후보의 양자대결이 굉장히 치열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장 격했던 경기도 의왕시는 이재명 후보가 46,221표를, 윤석열 후보가 46,120표를 득표하여 101표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


득표율 차이가 0.0%p인 읍면동은 아래와 같이 모두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를 비롯한 수도권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심상정 후보는 이재명 후보, 윤석열 후보를 차례로 양자대결 구도로 비교해보았지만 읍면동 단위에서 접전지가 0곳으로 나타나 아쉽게도 포스팅에서 다루지 못하였습니다. 그렇지만! SPH 태블로 퍼블릭에서 지도를 직접 눌러보시면 재밌는 인사이트를 얻으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꼭 경험해보세요! 💪🏻

SPH가 준비한 20대 대선 접전 지도! 재밌게 보셨나요? 😆

이번 대시보드 역시 글로벌 비즈니스인텔리전스(BI) 솔루션 시장 1위인 ‘태블로(Tableau)‘를 이용해 제작한 지도로, SPH 태블로 퍼블릭에 접속하시면 다양한 대시보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9대 대선 콘텐츠와 같이 SPH는 정치적인 견해를 떠나 정보를 보여 드리는 취지에서 제작되었으며, 데이터를 통해 가시화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SPH는 Google Maps, SuperMap, Maxar Technologies 등 다양한 케이스에 존재하는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의 사례에 꼭 맞는  무료 세미나 및 인적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 케이스에 더욱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시다면, 여기에서 문의 주시길 바라며,  SPH에서 발행하는 GIS / 로케이션인텔리전스 관련 최신 소식을 받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페이스북 페이지 또는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owered by Froala Editor


SPH는 Google Maps, SuperMap, Maxar Technologies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가지고 있으며, 고객의 사례에 꼭 맞는 무료 세미나 및 인적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시다면, 여기에서 문의 주시길 바라며, SPH에서 발행하는 GIS / 로케이션인텔리전스 관련 최신 소식을 받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페이스북 페이지 또는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시길 바랍니다

Newsletter구독 신청
문의하기